본문 바로가기

ONE DAY ACCESS/MELEE WEAPON

[One Day Access] 트윈 바솔크 (Twin Basolk)

안녕하세요 왜인지 요즘 계속 액세스 품목이 안들어와서 직접 만들어다(.. 리뷰를 쓰고 있는 sugea입니다


덕분에 이번 리뷰도 많이 늦은 감이 있네요. 기다리셨던 분들이 계시다면 부디 용서하시길.



한국시간 2015년 10월 22일 업데이트 17.8로 트윈 바솔크가 등장했습니다.

굉장히 우악스러운 도끼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의외로 물리속성은 전혀 없는 순수 화염속성의 그리니어제 도끼입니다.

보자마자 엠버용이구나 라고 생각한 것은 일단 뒤로 재쳐두고 어떤 무기인지 보도록 합시다.


▲야, 그거 화염무기야 볼트 니꺼 아냐.




1. 제작




트윈 바솔크는 상점제 그리니어 무기입니다.

그러고보니 이그니스를 제외한 모든 화염속성 무기는 상점제 무기군요.


어쨌거나 트윈 바솔크의 제작 재료는 위와 같습니다.

완성된 듀얼 조런과 아토모스 각 1개, 그리고 컨트롤 모듈 2개로 합치는 무기입니다.

전체적으로 부담없는 제작재료입니다...만, 아토모스가 좀 걸리는 군요.





재료로 들어가는 아토모스와 듀얼 조런 역시 상점에서 설계도를 구매 가능한 무기입니다.

들어가는 재료는 위와 같습니다.


즉,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재료를 합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180,000 크레딧 (트윈 바솔크 설계도 15,000 제작 30,000 듀얼 조런 설계도 15,000 제작 30,000 아토모스 설계도 30,000 제작 60,000)

2,400 셀비지 (듀얼 조런 900 아토모스 1,500)

1,300 폴리머 번들

1,100 퍼라이트

800 얼로이 플레이트

800 루비도

4 모르픽스

2 아르곤 크리스탈

2 컨트롤 모듈


제작에는 최소 36시간이 필요합니다. (듀얼 조런, 아토모스 동시 제작시 24시간 + 트윈 바솔크 제작 12시간)



상점 구매시 185플레티넘이 필요합니다.

제작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무기슬롯 2개값 12플레티넘,

듀얼조런과 아토모스 단축에 각 35, 45 플레티넘,

단축에 35플레티넘,

그리고 카탈리스트 값 20플레티넘을 합치면

총147플레티넘이므로 무기를 빨리 만나고 싶은 분들은 바로 구매하여도 크게 손해보지 않을 가격입니다.

특히 아르곤 크리스탈이 갑자기 너무 안나와서 미치겠다 하시는 분들은

정말 갖고 싶다는 욕구가 샘솟을때에 한하여 바로 구매하여도 괜찮은 값입니다.




2. 성능



트윈 바솔크는 화염 단일 속성의 무기입니다.

쌍수도검류로 분류되는 만큼 비교적 높은 수치의 회전 공격 대미지를,

그리고 원소 단일속성 무기답게 높은 수치의 상태이상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회전 공격 대미지가 높은 만큼 공격 속도는 낮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경공이 될 때는 회전 공격을 위해 공격 속도가 낮아 지는 것이 유의미 했지만 지금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어쨌거나 그런 컨셉들을 물려받은 무기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재료로 들어가는 듀얼 조런,

그리고 같은 화염 단일 속성 무기인 실바&이지스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상기 무기들에 비하여 기본적으로 대미지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상태이상 무기이기 때문인지 재료가 되는 듀얼 조런에 비하여 기대되는 대미지 수치는 오히려 낮은 편입니다.

듀얼 조런은 치명타에 특화된 무기이기 때문에 오히려 순간적인 기대 대미지는 높은 편입니다만,

그 듀얼 조런을 재료로 소비하는 트윈 바솔크는 치명타 대신 상태이상을 선택했습니다.


쌍수 도검류라는 카테고리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실바&이지스 계열의 무기로 보입니다.

다행히(?) 실바&이지스 보다는 훨씬 높은 대미지를 기대 할 수 있으므로

단일 속성 무기 중에서는 꽤 괜찮은 편에 속한다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이렇게 어중간해 보이는 수치를 가진 무기임에도 트윈 바솔크가 굉장히 강력한 무기로 탈바꿈 할 수 있는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엠버의 액셀러런트와의 시너지 효과인데요,

이전에도 그랬지만 엠버의 액셀러런트는 화염 단일속성으로 모딩만 한다면

실바&이지스 마저 고티어용 무기로 손색없도록 만드는 마법의 어빌리티입니다.

그런 어빌리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모딩을 한 경우,

트윈 바솔크는 기존의 회전 공격 최강자였던 볼테이스 마저 뛰어넘는 위력을 보입니다.

(볼테이스 회전 공격 기본수치 510, 트윈 바솔크+위력100%액셀러런트 사용시 기본수치 675)


※당연한 이야기지만 볼테이스에 화염모딩을 하더라도 기본적인 공격수치인 510이 효과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화염 속성을 살려둔 모딩이라면 기본 수치 270이 그대로 효과를 받는 트윈 바솔크 쪽이

 액셀러런트 사용시 더 높은 대미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본 대미지 역시 액셀러런트 적용시 112.5에 달하기 때문에 양손검에 필적하는 대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스탠스에 배수가 딱히 없는데다 최종모딩에선 어쨌건 화염이 아닌 속성이 생기다 보니 양손검에는 밀리는 느낌입니다.




3. 극성



트윈 바솔크는 기본적으로 제누릭 스탠스 극성과 마두라이 일반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누릭에 해당하는 쌍수도검 스탠스는 스월링 타이거가,

마두라이 극성에 해당하는 일반모드에는 주로 공격적인 모드가 있습니다.

어쨌거나 엠버와의 시너지가 없다면 너무나 평범해서 듀얼조런을 굳이 소모할 필요가 없는 무기이니,

엠버가 쓸 수 있도록 화염 대미지를 중심으로 한 모딩을 해 보겠습니다.



바로 이렇게 말이죠.

물론 스포일드 스트라이크는 굳이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회전공격 중심의 쌍수도검 무기인데다 화염을 중심으로 살리려니 딱히 떠오르는 모드가 없었던건 사실입니다.

(취향에 따라 스포일드 스트라이크 대신 프라임드 리치를 넣으셔도 꽤 괜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핵심 모드는 볼캐닉 엣지와 몰튼 임팩트를 마지막에 넣어 줌으로써 화염을 살리는 것,

그리고 개인 취향에 따라 90%속성 모드 두 개를 앞에 넣어 원하는 조합속성을 만들어 두는 것이 되겠습니다.


밀리무기답게 기본 극성이 하나 달린 것 만으로도

굳이 포작을 할 필요 없이 90%속성을 넣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도대체 이렇게 모딩한 트윈 바솔크가 엠버와 시너지를 일으키면 어떻게 되는지 봐야 겠죠?

아래 섬멸4 영상에서 확인해 봅시다.

※ 이 영상의 엠버는 위력 130%로, 액셀러런트의 배수가 3.25배 입니다.




4. 마치며
트윈 바솔크는 분명히 이그니스의 상향과 함께 엠버의 사용을 염두에 둔 무기인 것으로 보입니다.
무조건 맞다고 할 수는 없지만 물리속성이 전혀 없는데다 치명타 확률이 높은 편도 아니기 때문에
엠버가 아닌 다른 프레임들이 쓰기에는 분명히 다소 빈약한 부분이 느껴지는 무기입니다.

닌콘디처럼 빠른 속도로 상태이상을 계속 넣어서 갈아마시는 무기도 아니고,
그렇다고 치명타가 높거나 굉장히 높은 수치의 대미지를 가진 무기도 아니기 때문이죠.

제작 난이도에 비하면 꽤 강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만,
어쨌거나 굳이 이 무기를 가지고 고티어 미션마저 정복하겠다 라고 하기에는 힘든 무기임이 분명합니다.

단, 엠버가 쓰게 되면 액셀러런트 위력에 따라 회전 공격이 한 방에 몇만씩 뜨기도 하는건 분명히 매력적입니다.
결국 어느 모로 보나 엠버를 위한 무기라고 밖에는 할 수 없지 않은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