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DAY ACCESS/MELEE WEAPON

[One Day Access] 사르파 (Sarpa)

SUGEA 2016. 9. 1. 18:47

1. 개요


출시일 : 2016. 8. 19. (U 19.1 백은의 숲(실버 그로브) THE SILVER GROVE)


종류

TnoGunbladeAuto사르파 : 근접무기, 건블레이드


성능

TnoGunbladeAuto사르파

공격력 

 물리 70 (베기 49, 관통 14, 충격 7) 

회전 공격 

210 

투척 공격(차지어택) 

35 

치명타 확률 

5% 

치명타 배수 

x1.5 

채널링 피해 

x1.5 

채널링 비용 

점프 공격 

140 

상태이상 

10% 

벽타기 공격 

280 

공격 속도 

1.00 


제작재료

 TnoGunbladeAuto

사르파

 Cryotic 크라이오틱

 3,300

 

 Plastids64 플라스티드

 1,000

 

 ControlModule64 컨트롤모듈

 2

 

 Credits64 크레딧

 20,000

 총합 75,000

 TennoUzi

아크스틸레토

 Gallium64 갈륨

 2

 Salvage64 셀비지

 800

 AlloyPlate64 얼로이 플레이트

 200

 Credits64 크레딧

 20,000

 Forma64

포르마

 OrokinCell64 오로킨 셀

 Neurode64 뉴로드

 NeuralSensor64 뉴럴 센서

 Morphics64 모르픽스

 Credits64 크레딧

35,000 

단축  Platinum6410

단축  Platinum6435

단축  Platinum6435


입수법

상점 무기페이지에서 도면 구매 후 제작


특수기믹

근접무기이나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차지어택이 포함

동일 건블레이드 종류인 리디머에 비해 낮은 펠릿당 대미지

낮은 펠릿당 대미지를 보완하기 위한 3점사 메커니즘

극도로 낮은 명중률




2. 제작



사르파는 리디머의 뒤를 이은 새로운 건블레이드입니다.

제작에 많은 부담을 주던 리디머와 달리 사르파는 큰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유일하게 부담이 될 수 있는 부분은 크라이오틱입니다만, 프라임 부품 파밍을 하다보면 금방 모이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듯합니다.


아크스틸레토는 프라임이 있는 무기이므로 일반 아크스틸레토의 랭작이 끝났다면 사르파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전체 단축에는 총 80 플레티넘이 필요합니다.



상점구매에는 175 플레티넘이 필요하며, 슬롯과 카탈리스트 값을 포함하더라도 꽤 비싼 편입니다.


그리 부담되는 재료는 아니므로 구매보다는 제작을 권하고 싶군요.

특히 이후에 설명할 성능을 직접 겪으시면 구매를 후회하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군요.

우선은 구매보다는 제작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무기라는 것만 알려드리겠습니다.




3. 성능



사르파는 리디머와 같은 건블레이드 종류의 근접무기 입니다.

우선 표기 스펙은 위와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리디머보다 아주 뛰어나 보입니다.

리디머의 물리 기본대미지인 60에 비해 10이나 높은 70의 대미지를 자랑합니다.

그 외의 모든 부분에서도 리디머보다 표기대미지는 높은 편입니다.

실제로 휘둘러도 근접 일반공격에서는 리디머보다 뛰어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리디머는 단발, 사르파는 3점사라는 특성상 표기대미지가 전부가 아닙니다.

차지어택 사용시 사르파의 펠릿당 대미지는 리디머에 비해 떨어집니다.

3점사가 전부 명중할 경우에만 리디머보다 대미지가 높다는 이야기죠.


위키아(http://warframe.wikia.com/wiki/Sarpa)에서는 1발당 5개의 펠릿이 발사된다고 합니다.

3점사이므로 총 15개의 펠릿이 발사되는거라고 볼 수 있겠네요.

펠릿수가 많다보니 널리파이어의 배리어를 부수는 데엔 탁월한 무기입니다.


모딩에서는 꿰뚫기 거리인 파워 쓰로우를 사용할 수 없으나, 다행히 리디머와 같이 기본적인 꿰뚫기 거리가 적용됩니다.

그래서 얇은 파이프 뒤에 숨은 랜서나 쉴드랜서 정도는 가볍게 제압이 가능합니다.


전반적인 성능에 대한 평가를 하자면, 아무래도 아크스틸레토가 아깝지 않을까...싶은 정도군요.

물론 외형이 아주 예쁜 편이고 피니셔 발동시에 대미지가 준수한 편이므로 취향껏 사용하는 데에 사용하지 말라고 말리고 싶은 정도는 아닙니다.




4. 개조


사르파는 마두라이 스탠스에 바자린 일반극성을 1개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바자린 극성에 해당하는 것은 얼음90%, 상태이상 확률증가, 라이프 스트라이크 뿐이므로 원하는 완전체 모딩이 있다면 포르마 1~2개는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극성입니다.

프라임드 모드를 사용한다면 더욱 그렇겠죠.



뒤에 나올 영상에서 사용한 모딩입니다.

포르마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라임드 모드는 배재하였고, 바디 카운트를 사용했음에도 기본 치명타 확률이 낮아 블러드 러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체적으로 한 가지 속성에 올인하는 형태의 모딩이나, 베기+바이러스 모딩이 잘 어울릴 것 같습니다.


물론 차지어택 기준으로 봤을 땐 그냥 깡딜모딩이 최고인거 같더군요.




5. 특수기믹

사르파는 리디머와 같이 차지어택으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합니다.

앞의 성능 파트에서도 설명했습니다만, 체감상 사르파의 위력은 리디머보다 많이 떨어지는 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시뮬라크럼에서 따로 실험을 한 결과,

발당 10개의 펠릿이 발사된다는 리디머보다 5개의 펠릿이 많았고 실제 모딩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대미지도 사르파가 높았습니다.

그런데 왜인지 모딩을 마친 뒤엔 사르파의 펠릿당 대미지도, 전체적인 성능도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대미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명확한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만,

이후 마지막 영상 파트에서 보여드릴 리디머와 사르파의 비교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동일모딩시 펠릿당 대미지도 약간 뒤처지며, 극도로 낮은 명중률과 반동때문에 원거리의 적 하나를 제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러면 근접형 건블레이드가 되어야 하는데, 차지어택의 속성이 충격이기 때문인지 접근한 적을 시원하게 날리지도 못합니다.

대신 차지어택이 폭발대미지로 이루어진 리디머에 비해 베기 상태이상이 쉽게 발동하기 때문에 이나로스나 엑스칼리버가 쓴다면 이야기가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불릿댄스를 직접 사용해보지 못한 것이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만, 불릿댄스를 써도 이런 명중률에 대한 단점이 극복이 되지 않는다고 하니,

저는 표기 성능을 무시하고 리디머에 소중한 한 표 행사하겠습니다.




6. 영상


앞서 언급했던 문제의 사르파와 리디머의 비교입니다.

영상 전반에 걸쳐 사르파가 리디머에게 밀리는 모습만 보여줍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정확도라고 할 수 있겠네요.


무기 자체의 정확도가 심각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근거리 아크로바틱 전투가 아닌 이상, 사르파가 리디머에 비해 강력한 무기라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


표기성능의 함정을 제대로 느낀 무기였다는 평가로 사르파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