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EA 2015. 3. 14. 02:05
두 번째 원 대이 액세스 리뷰입니다.

금일 업데이트 15.15로 새로운 밀리무기인 톤보(TONBO)가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번역이 미적용 된 상태이기 때문에 영문으로 보입니다.

코덱스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옛 전쟁의 가장 어두웠던 시기에 많은 텐노들의 목숨줄이 오직 톤보에 달려 있었습니다.




1. 제작톤보는 클랜제 무기이며, 
텐노 연구소 연구 필요 자원량
Credits64
5000
Morphics64
1
Ferrite64
500
Oxium64
20
Plastids64
300
시간: 48 시간
선행: 나미 스카일라
클랜 등급별 자원 필요량
고스트 클랜 x1   쉐도우 클랜 x3   스톰 클랜 x10   마운틴 클랜 x35   문 클랜x100
클랜에서 완성된 도면의 복제 비용은 15000 크레딧이며
제작 재료는 컨트롤 모듈 2개, 퍼라이트 2000개, 플라스티드 800개, 옥슘 100개가 들어갑니다.
제작시 필요 크레딧은 2만 크레딧이며 단축시 35플레티넘이 소모되며 제작시간은 12시간 입니다.




2. 성능

저번 순서와 같이 성능을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톤보는 그 생김새에 걸맞게 베기중심의 대미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본 물리 대미지는 총합 80으로, 충격, 관통, 베기의 비율이 각각 2:3:1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리속성 대미지 증가 모드가 전체 대미지의 비율이 아닌 해당 속성 비율로 오르는 점을 따져 보았을 때,
90%의 속성모드의 대미지 증가량과 베기대미지를 120%늘려주는 버즈킬의 대미지 증가량이 동일합니다.
때문에, 출혈을 위해 베기비율을 늘리고 싶다면 버즈킬을 사용하는 것 역시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단, 재기드 엣지의 경우 대미지 증가량이 18이 모자라기 때문에 90% 속성대미지 보다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또한, 매우 낮은 치명타 확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서커의 효율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대신 상태이상률이 25%로 매우 높기 때문에 이벤트 모드를 활용한 상태이상 무기로서의 효율이나,
극단적인 베기모딩을 통한 출혈 모딩이 효과적인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톤보의 외형이 기존의 무기 중 티페도와 같은 부류의 무기 같기 때문에 비교해 보겠습니다.



티페도는 비교적 낮은 비율의 베기대미지와 물리대미지를 보유하고 있고(1:1:8, 50),
대신 비교도 안되게 높은 치명타 확률과 약간 낮은 상태이상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공격속도가 이번에 나온 톤보에 비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버서커를 통해 정신없이 적을 후려갈기는 무기라는 것을 바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톤보가 티페도에 비해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기본 대미지는 30이나 높지만 그에 비해 치명타 확률이 너무 낮다는 것이 있겠습니다.


하지만 과연 외관이 비슷하다고 해서 톤보와 티페도가 같은 종류의 무기일까요?

그래서 스탠스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네, 의외로 무기 종류는 완전히 다른 스태프와 폴암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서로 다른 무기군인 티페도와 톤보의 비교는 큰 의미가 있다고는 할 수 없겠습니다.

그래서 톤보와 같은 폴암무기 중, 스펙이 가장 비슷한 세로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세로의 경우, 물리대미지 없이 속성 대미지 75로 톤보의 물리대미지 합인 80과 비슷한 수준이며,
공격속도는 톤보보다 약간 느리지만 치명타 확률과 상태이상률이 같아 톤보와 같은 모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 대미지와 공격 속도만 보자면 톤보가 세로의 상위호환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전기속성과 베기속성 무기의 특이점을 활용한다면 서로 다른 팩션에서 각자 빛을 발하는 무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3. 극성



스탠스 극성은 제누릭(=) 이며, 기본 극성은 마두라이 입니다.
기본적인 스탠스는 오르도스 프라임과 같이 쉬머링 블라이트를 요구합니다.
모션이 단순하고 블리딩 윌로우에 비해 돌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무시하기 쉽지만,
블리딩 윌로우의 콤보와 쉬머링 블라이트의 콤보를 비교해 본다면,
톤보에게는 오히려 쉬머링 블라이트가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블리딩 윌로우

MoveButton Combination
리썰 거스트EE2XEE2X
드리프팅 스틸EE 누르기 E150%Imp.EImp.2XE
사이클론 스트라이크슬라이딩중 + E
마운틴스 치슬공중에서 + E
가이딩 플랭크벽타기중 + E
터널링 스파이크다운된 적을 조준하며 + E
    = 일반       = 전범위       = 내려치기       = 처형(상태이상)


쉬머링 블라이트
MoveButton Combination
슬래슁 윈드EE2XE
하울링 게일EE 누르기 E3XESlash bImpact b2X
사이클론 스트라이크슬라이딩중 + E
마운틴스 치슬공중에서 + E
가이딩 플랭크벽타기중 + E
터널링 스파이크다운된 적을 조준하며 + E
    = 일반       = 전범위       = 내려치기       = 처형(상태이상)





4. 특이사항

톤보는 폴암류 무기이기 때문에 사정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장면으로, 벽을 대상으로 하여 2m지점에 타격이 가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 번의 실험으로는 알 수 없다고 판단하여 추가실험을 좀 더 해 보았는데,





적이 2~3m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타격이 가해지다가 3~4m범위가 되면 타격이 가해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로 미루어 톤보의 기본 범위는 3m일 것으로 추측되며
이 범위는 티페도의 3m와 같습니다.
오르도스 프라임은 4m로, 기본 범위는 약 25%정도 차이나지만
이정도면 충분히 프라임드 리치를 고려해 볼 만 한 것으로 보입니다. 

GunBunny 님의 프라임드 리치 무기별 비교글 http://cafe.naver.com/warframekr/105300



5. 외관


무기 전체의 모습은 휘어진 곡도가 창 끝에 달려있는 모습으로, 언월도를 연상시킵니다.



수가트라 부착시, 손이 닿는 본 중앙부분에 두 개가 모여서 달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 색상 파트.

봉 쪽의 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색입니다.
재질은 무광으로, 타르지스 프라임 아머의 보조색상 파트와 같은 재질입니다.


보조색상 파트는 칼날부분의 색입니다.

재질은 도색 가능한 프라임 금장 파트의 재질들과 같으며, 우루 샨다나의 목장식 부분과도 같은 재질입니다.


파트 3 색상은 칼날을 제외한 칼몸과 봉의 중앙부분, 그리고 전체적인 세부 무늬의 색상입니다.
칼날 부분과 손잡이 뒷부분의 장식은 프라임 금장과 같은 금속 재질이며,

봉의 중앙부분은 무광금속 재질로, 소마 프라임과 비슷한 재질입니다.


파트 4 색상입니다.
파트 4 부분은 전체가 무광으로, 주 색상 파트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에너지 색 파트입니다.
에너지 색상 자체가 여기저기 많이 보이는 무기가 아니기 때문에
채널링을 켜지 않으면 에너지 색상이 크게 티나는 무기는 아닙니다.





덧.
추천모딩1 - 베기형 깡댐(프레셔 포인트, 퓨리, 버즈 킬, 90% 속성 2개, 상태이상속성 2개, 유틸모드)
추천모딩2 - 느린속도 범위형(프레셔 포인트, 프라임드 리치, 버즈 킬, 90% 속성 2개, 상태이상속성 2개, 유틸모드)
추천모딩3 - 넓은범위 깡댐(프레셔 포인트, 퓨리, 프라임드 리치, 90% 속성 2개, 상태이상속성 2개, 유틸모드)
프라임드 리치나 버즈킬이 없다면 그 부분에 추가 유틸모드를 장착하거나 버서커를 넣어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