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막 (Kohmak)
립카스와 함께 이번 U16에서 우리를 만나러 온 꼬마 손님
어떤 무기인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도록 하죠.
1. 제작
코막은 클랜제 무기입니다.
화학 연구소(그리니어)에서 연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 재료는
화학 연구소(그리니어) 연구 필요 자원량 | |||||
---|---|---|---|---|---|
![]() 5000 | ![]() 10 | ![]() 400 | ![]() 2 | ![]() 500 | 시간: 72 시간 |
선행: 메어락 | |||||
클랜 등급별 자원 필요량 고스트 클랜 x1 쉐도우 클랜 x3 스톰 클랜 x10 마운틴 클랜 x35 문 클랜x100 |
제작 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막 제작 필요 자원량 | |||||
---|---|---|---|---|---|
![]() 30,000 | ![]() 2 | ![]() 5,000 | ![]() 5,000 | ![]() 1 | 시간: 24 시간 |
단축: ![]() | |||||
상점 구매 가격 : ![]() ![]() |
2. 성능
코막의 성능은 처음엔 굉장히 의아한 성능으로 판단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놈의 코막은 정보창에서 보이는 기본 스팩이 굉장히 낮았거든요.
물리 대미지 속성 총합 16..라토에 맞먹는 대미지를 보자 어리둥절 할 수 밖에 없었고,
또 그만큼 굉장히 아리송한 수치였습니다.
샷건인데, 대미지가 16에 치명타는 5%밖에 안되고 상태이상도 10%다?
탄창은 많은데 너무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유를 곧 알게 되었죠.
설명에 나와있는 콤과의 연계였습니다.
즉, 코막은 콤의 권총버전이라는 소리였죠.
콤 역시 샷건이지만 발사 시 펠릿과 발수가 점점 늘어나고, 표기 대미지는 각 펠릿의 대미지를 보여줍니다.
코막 역시 다르지 않았던 겁니다.
딱히 비교할 무기가 없었으나, 콤이 표기대미지에 비해 실질적인 성능이 그렇게 좋다면,
코막 역시 아주 좋은것이 아닐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어 아킴보 브롱코 프라임과 비교를 해 보았습니다.
아킴보 브롱코 프라임의 경우, 1회 발사당 나오는 펠릿의 수는 7발입니다.
즉, 펠릿 하나 당 적용되는 대미지는 위에 표기된 대미지의 7분의 1이라는 소리죠.
그렇게 따지고 봤더니, 아킴보 브롱코 프라임의 각 펠릿당 대미지는 기본이 15였습니다.
코막보다도 낮은 수치였죠.
즉, 정확하게 알고 보면 코막은 아킴보 브롱코 프라임에 버금가는 굉장한 보조무기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3. 극성
코막의 기본 스팩에서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기본 극성이었습니다.
기본 극성은 고작 바자린(D) 하나.
즉, 슈어 샷이나 딥 프리즈 밖에 득 볼 것이 없는 극성이었습니다.
한마디로 무극성 상태와도 같은 상황이라는 것이죠.
덕분에 30랭크에 도달한 상황에서도 기본 극성 상태로는 뭔가 하나라도 더 끼우고 싶기만 할 뿐, 이 정도 모딩 밖에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만약 단 하나 있는 기본 극성이 마두라이(v)나 나라몬(-)이었다면 이벤트 모드라도 하나 더 끼울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만 가득했습니다.
4. 특이사항
코막은 콤의 권총버전 답게 굉장히 독특한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 발은 한 발밖에 나가지 않지만, 발사할 수록 동시에 발사되는 탄환 수가 늘어나고, 이 탄환은 발사 될 수록 여러 개의 펠릿으로 나눠져 멀티샷이 나갑니다.
이 방식은 콤의 발사방식과도 같은 방식인데, 특히나 연사력과 멀티샷을 동시에 챙기기 좋은 보조무기인 탓인지 가속이 붙으면 보어 프라임을 쓰는 듯 한 느낌마저 들었습니다.
더구나 탄속이 있는 콤과는 다르게 히트스캔 무기였기 때문에 더더욱 독특한 무기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샷건답게 굉장한 탄퍼짐을 보여주었습니다.
집탄률이 극히 안좋은 것을 볼 수 있죠.
명줄률 10 이하의 소총으로 10미터 거리에서 난사를 해도 이렇게 까지 퍼지진 않을겁니다.
화면에 다 나오진 않았지만 실제론 창틀까지 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 샷건답게 폴오프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굉장히 넓은 범위를 쉽게 제압할 수 있는 무기임에는 틀림없었습니다.
정확한 사격으로 머리통을 탁탁 쳐내는 것을 즐기는 분이라면 기피하고 싶은 무기겠지만, 그물로 고기를 잡듯이 한 번에 적들을 싸잡는 데에는 이만 한 총이 얼마나 있을까 싶기도 했습니다.
연사속도를 올려주면 예열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순간화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연사속도 모딩을 하는 것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5. 외관
외관은 립카스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주의해서 보거나 흥미롭게 볼 만 한 부분은 없었습니다.
보조 색상의 색상은 총열 중간에 보이는 그리니어 마크의 색상을 바꿔 줄 뿐입니다.
가장 크게 티가나는 부분은 파트 3(총열 중간에 있는 둥그런 부분)과 4(총열)의 색상입니다.
6. 사용영상
그럼 마지막으로, 립카스 글에서도 보여드린 수성 섬멸 영상과 보이드 섬멸 2 영상을 보며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덧.
추천모딩1 - 극연사(호넷 스트라이크, 리썰 토렌트, 배럴 디퓨전, 건슬링어, 아네믹 어질리티, 90% 속성 2개, 유틸모드)
추천모딩2 - 극탄창(호넷 스트라이크, 리썰 토렌트, 배럴 디퓨전, 슬립 매거진, 아이스 스톰, 프라임드 피스톨 애모 뮤테이션, 90% 속성 2개(또는 1개와 유틸모드))